제발 국고환수!!
그는 일본 제국주의를 위해 국방 관련 단체에 헌금을 기부했다. 그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내역은 다음과 같다.
1933년 8월 조선나예방협회 기금으로 1,000원을 냈다.[4] 1934년 6월 29일 조선중앙일보 감사역을 맡았다.
1936년 2월부터는 합자회사 구정상회 사장으로 있었다. 이때 교하간이교(校河簡易校)를 지을 땅을 1,500평을 기부하였다.
1936년 7월부터 금융신탁회사인 우익상사 취체역으로 있었다.
1937년 7월 22일 국방헌금 1만원(현재 가치 10억원 정도)을 종로경찰서에 헌납했다. 그는 "나라에 대한 봉사의 뜻을 표하고자 적은 돈이나마 바치오니 받아주십시오"라고 말하고 돌아갔다.
1937년 조선군사후원연맹 사업비로 2,500원을 냈으며, 같은 해 9월 5일 결성된 '경기도내 군기헌납기성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비행기 대금 500원을 냈다.[5] 반일운동에 대항하기 위해(…) '일선융화'를 내걸고 결성된 동민회의 회원으로 활동했다
1939년 11월 조선총독부 1939년 9월 주식회사 쇼와직물을 설립하여 사장을 역임.
1940년 9월 중앙연료주식회사 취체역을 맡았다.1943년 8월 징병제 실시에 감격하여(…)[6] 국방헌금 3,000원을 헌납했다.
1944년 4월 일본 정부가 주는 감수포장을 받았다.
해방 이후, 1945년 9월 한국민주당 발기인으로 참여했고, 1945년 12월 대한경제보국회 감사를 맡았다.
1948년 백범 김구와 임시정부 계열이 지목한 숙청대상 친일 인사들 명단초안에 이름을 올랐다.
10년간 그는 연평균 1,700원 정도의 헌금을 냈다. 그의 연평균 소득은 11만원 정도였으며 군용기 가격은 대당 75,000원 정도였다.
로그인 후 댓글 쓰기가 가능합니다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