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ek1020
작성한글 1600 · 작성댓글 3005
skek1020님의 활동
총 1,600 개
와 움짤 진짜 아찔하네요
물 차는 속도도 너무 실감나고.. 다들 운전하면서 무슨 생각을 했을지...ㄷㄷ
저렇게 간발의 차이로 빠져나온 분들이랑 침수된 차량들이
고작 10분 간격이었던 걸 생각해보면.... 정말 너무 아찔합니다ㅜ
ㅋㅋㅋㅋㅋㅋㅋㅋ요즘 시대에 왕이 뭐라고?
실권도 없는 허울 뿐인 왕인데ㅋㅋㅋㅋ 그리고 미국엔 왕이 없단다 너희들한테나 왕이지;;
저거 논란 삼는 영국인들은 미국이 아직도 자기 나라 식민지인 줄 아는 건가?
하.. 내가 봤을 땐 우리나라도 이미 골든타임 지나친 거 같다
하루가 멀다하고 너무 흔하게 마약사범 기사가 계속 나오는 게..
그리고 마약을 할 거면 니네 나라 가서 해ㅜㅜ
니네 나라 가면 동지들 많잖아 ㅜㅜ
적어도 집 안에서만이라도 초파리 박멸하는 법 없을까?
일단 초파리가 좋아하는 대상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 박멸의 첫 걸음!!
- 테이블이나 싱크대 등 식품을 방치해놓지 않는다
- 모든 과일, 채소, 식품은 가능한 냉장고에 보관한다
- 냉장 기능이 있는 음식물 전용 쓰레기통을 쓰는 것도 도움이 된다
- 설거지도 그때그때 바로 해치운다
- 설거지 후 싱크대도 싹 헹구고 배수구도 정기적으로 청소한다
- 사과 식초와 주방 세제를 활용한 초파리 트랩을 만들어도 좋다
- 초파리가 좋아하는 점액을 만드는 식충 식물을 들여도 좋다
마케팅이든 뭐든 폐암 환자들을 위한 지원임에는 변함이 없으니 당연히 칭찬해야지
돌아가신 유일한 박사 정신을 기려서 사회에 환원하는 거 앞으로도 계속 잘 이어나가면 좋겠네
이래서 가족 경영을 안 해야 되는 건가 싶다
비 오는 날 피해야 할 의류/신발
1. 검은색 옷, 어두운 옷- 눈에 잘 띄지 않아 사고 위험이 훨씬 높다
2. 검정색 우산- 마찬가지로 눈에 잘 띄지 않아 투명이나 밝은색 우산 권장
3. 쪼리- 물과 닿으면 발과의 밀착력이 약해져 미끄럽고 강한 빗물에 잘 벗겨질 수도 있음
4. 뮬- 신발 뒷축이 없는 뮬의 경우 앞부분에 물이 차 벗겨지거나 이물질이 들어와 다칠 수 있음
5. 슬리퍼- 살이 노출되는 부분이 많아 발을 다칠 위험도 높음
6. 클로그- 비가 적게 오는 날은 편하지만, 비가 많이 오는 날엔 오히려 벗겨지기 쉬운 구조
권장하는 것은
어두울 때도 눈에 잘 띄는 밝은색 의류와 양말+운동화 조합
저출생 대책이라고 대놓는 게 부모가 자식한테 주는 결혼 자금 증여세 공제 확대 따위인데
퍽이나 사람들이 결혼 하고 애낳고 살고 싶겠다 그치?
저출생 대책이 아니라 걍 부자들 감세 루트로 더 많이 쓰일 것 같은데ㅋㅋㅋㅋㅋ
이렇게 감을 못 잡고 있으니 비혼인구가 늘어만 가지
이케아 추천 꿀템
-> 전자레인지 뚜껑 1900원, 만능 시계 3900원, 지퍼백 60개 3500원, 메쉬 그물망 바구니 9900원
MUJI 추천 꿀템
-> 케이블 수납 케이스 2900원, 벨크로 테이프 2500원, 에코백 3900원, 냉수통 9900원
다이소 추천 꿀템
-> 실리콘 덮개 2000원, 옷 수선 테이프 2000원, 전자렌지 보관용기 1000원, 길이조절 바스켓 1000원
모던하우스 추천 꿀템
-> 실리콘 얼음틀 7900원, 스텐 키친타올 걸이 8900원, 슬림 빨래판 2900원, 욕실화 걸이 5900원
JAJU 추천 꿀템
-> 자석 부착형 미니칼 6900원, 360도 회전 트레이 7900원, 락앤락 세척솔 1900원, 삼각집게 8900원
이런 게 있다더라 이거 하면 아이한테도 우리한테도 더 좋지 않을까? 하면서 제시하는 건 괜찮지
근데 이미 한 번 거절했는데 그걸 거듭해서 설득하고 푸시하는 건 경솔했다고 봄
결정을 전적으로 애 낳은 사람한테 맡길 일이지 본인 생각하기에 더 좋아 보인다고 푸시하는 게 문제
지원대상 확대된 하반기 청년주거정책 모음!!
- 청년 대상 전세금반환보증료 지원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했던 사업을 전국으로 확대
- 신혼부부 대출 소득요건 완화
전세자금 대출 시 부부합산 연소득 6000만원에서 7500만원으로 조정,
주택구입자금 대출 시 부부합산 연소득 7500만원에서 8500만원으로 조정
- 청년 주거자금 지원 강화
디딤돌, 버팀목 등 주거자금 지원을 기존 21조원에서 44조원까지 추가 공급
- 주택청약종합저축 세제혜택
소득공제 적용 연간 납입 한도를 24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조정하고, 청년우대형 청약 우대금리와 비과세 유지
- 체증식 분할상환 방식 도입 유도
초기에는 이자를 주로 상환하다가 원금을 서서히 상환하는 방식의 체증식 분할상환 방식 도입 유도
- 청년/무주택자 대상 사전청약 확대
3기 신도시 등 우수입지의 공공주택 사전청약 확대
© NATE Communications